티스토리 뷰
그 때 문득 막다른 골목까지 쫓긴 도망자가 획 돌아서는 것처럼 찰나적으로 사고의 전환이 왔다. 나만 보았다는데 무슨 뜻이 있을 것 같았다. 우리만 여기 남기까지 얼마나 많은 고약한 우연이 엎치고 덮쳤던가. 그래, 나 홀로 보았다면 반드시 그걸 증언할 책무가 있을 것이다. 그거야말로 고약한 우연에 대한 정당한 복수다. 증언할 게 어찌 이 거대한 공허뿐이랴. 벌레의 시간도 증언해야지. 그래야 난 벌레를 벗어날 수가 있다.
그건 앞으로 언젠가 글을 쓸 것 같은 예감이었다. 그 예감이 공포를 몰아 냇다. 조금밖에 없는 식량도 걱정이 안됐다. 다닥다닥 붙은 빈 집들이 식량으로 보였다. 집집마다 설마 밀가루 몇 줌, 보리쌀 한 두 됫박쯤 없을라구. 나는 벌써 빈 집을 털 계획까지 세워 놓고 있었기 때문에 목구멍이 포도청도 겁나지 않았다.(269, 소설의 마지막 구절)
이 대결(어머니 기숙 여사와 작가이자 인간 박완서 간의)에서 하나의 심리적 메커니즘이 만들어지는데, 바로 이것이 <나목(1970)> 이래 작가 박완서의 창작방법론이었던 것입니다. 부끄러움의 근거 묻기가 그것. 자존심의 근거 묻기가 그것. 그것은 곧 미리 핑계 만들기, 합리화하기가 그것. ... '벌레의 시간'을 증언하기, 바로 이것이 박완서 글쓰기의 기원에 해당되는 것.(292-293, 김윤식의 평론, '기억과 묘사' 중)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Toronto
- 선련사
- 엄마
- 여행
- 기억
- 인터뷰
- 맥주
- 논문
- CWSE
- 박완서
- 열등감
- 감기
- 봄비
- Kensington Market
- 일기
- 졸업
- 가을
- 토론토
- 영어
- 일상
- UofT
- 교육사회학
- 봄
- 켄싱턴 마켓
- 일다
- 인도
- 아침
- 토론토의 겨울
- OISE
- 교육대학교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