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기사 제목과 내용이 전혀 맞지 않고, 원인 분석에 헛점 투성이지만,
그래도 이런 기사가 나왔다는 것만으로도 의미있다, 싶어서 저장해둠.


----------------------------------------------------------------------------------------------------------
채용 비율 5%에서 12%까지 확대됐지만 구성원 대비 여전히 과소 ­대표돼
여교수 및 여성 학문후속세대 위한 지원 및 제도 마련 필요
2010년 10월 17일 (일) 16:45:59 성준경 취재부 차장 sjkbar@snu.kr

서울대 여성연구소가 설립 10주년을 맞았다. 지난 10년간 여성연구소는 학내 양성평등 구현을 위해 다양한 연구를 진행해 왔으며 여교수의 임신, 출산시 계약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교원임기 신축 운영제도(STC, Stopping Tenure Clock)’ 를 제안하고 이를 제도화하는 등 양성평등의 제도적 구현을 위해 노력해왔다. 하지만 서울대의 여교수 비율은 아직까지 12% 가량에 불과해 진정한 양성평등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아직까지 가야할 길은 멀기만 하다.

여교수 비율은 증가했지만…

서울대 교원사회는 지난 10년간 양적인 측면에서 양성평등을 향해 꾸준히 나아가고 있다. 2010년 현재 서울대 여교수는 222명으로 전체 교수의 12.25%를 차지한다. 2000년 여교수는 총 103명으로 전체 1485명의 교수의 6.94%에 불과했음을 고려하면 근 10년간 여교수는 2배 가량 증가했다.
전체 교수 중 여교수의 비율뿐 아니라 여교수의 신규 임용비율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2000년에는 신규채용교원의 5.56%만이 여성교원이었지만 그 비율이 꾸준히 증가해 2004년에는 27.78%에 달하기도 했으며 2010년 현재에는 신규채용교원의 18.09%가 여성교원이다.
그러나 이러한 증가추세에도 여교수는 여전히 서울대의 여성 구성원 비율에 비해 과소 대표되고 있어 양성평등이 완벽히 실현됐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여성 학부생의 수는 2000년 전체의 30%를 넘어섰고 현재는 학부생의 약 40%가 여학생이다. 석사과정과 박사과정의 여학생 비율도 2010년 현재 각각 46%와 40%에 달하며 시간강사의 40% 역시 여성이지만 여교수의 비율은 12.2%에 불과하다. 여성연구소장 한정숙 교수(서양사학과)는 “신규채용 여성교원의 비율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지만 여학생과 여성 시간강사의 비율을 고려하면 이는 여전히 크게 부족한 수준”이라며 전체 구성원의 비율에 비해 여교수가 과소 대표되고 있음을 지적했다.
‘여성 보직교수’로 시야를 좁혀도 여교수의 과소 대표성이 드러난다. 이기춘 명예교수(소비자아동학부)는 「서울대 여교수회 20년사」를 통해 “다수의 남성교수들 사이에서 소수의 여교수들은 큰 불편을 겪었다”며 “여교수들은 학과장을 포함한 모든 보직에서 제외되는 등 보이지 않는 차별을 당했다”고 말했다. 이처럼 여교수의 과소대표 문제는 심각했으나 2008년 기준으로 여성 보직교수의 비율은 13.71%까지 상승했으며 학사운영위원회, 대학인사위원회 등 각종 위원회에 참여하는 여교수의 비율은 11.8%에 달해 상당한 증가 추세를 보였다.
전체 여교수 증가에 따라 여성 보직교수의 수가 지속적으로 늘어났음에도 주요 보직에서의 여교수의 비율은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16명의 단과대 학장 중 여성 학장은 생활대와 간호대의 2명에 불과하며 박명진 부총장을 제외하면 △교무처 △연구처 △학생처 △기획처 등 주요 부서의 처·부처장 중 여교수는 단 1명도 없는 상황이다. 양현아 교수(법학부)는 “주요 보직에 여교수가 거의 없다는 것은 여성의 시각이 학교 운영에 반영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주요 보직에 의무적으로 여성을 포함시키는 등의 적극적 조치가 있어야 양성의 균형적 시각에 기초한 학내 정책 수립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과소 대표된 여교수, 그 원인은?

이렇듯 여교수와 여성 보직교수의 수가 과소 대표되는 이유는 가사 및 가족 내 돌봄기능이 여전히 여성에게 과도하게 부과되는 사회구조 속에서 대학이 여성의 부담을 덜어줄 제도적 보완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학문후속세대의 가사, 육아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제도 및 시설이 부족해 이들이 학업에 어려움을 겪으며 결국 교수로 임용될만한 연구실적을 내는 것이 어려운 것이다. 실제로 여성 석·박사, 시간강사의 비율은 40%에 달하지만 여교수 비율은 12%에 불과하다. 한정숙 교수는 “본부는 직장내 보육시설 확대 등 학업과 육아라는 여성의 이중 부담을 줄이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지만 여성의 부담을 완전히 해소하기에는 여전히 양적으로 부족한 상태”라고 지적했다.
여성의 인생 주기를 고려하지 않은 남성위주의 교수평가방식도 문제로 지적됐다. 여성 교수는 상대적으로 가사 부담이 없는 남성 교수에 비해 정해진 기간 내에 연구성과를 창출하기가 힘들다. 하지만 대학은 이러한 남성과 여성의 차이에 대한 몰이해도 임용 이후 승진심사 기간을 남녀 구분없이 획일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김혜란 교수(사회복지학과)는 “이러한 남성위주의 평가방식에서는 여성의 능력이 올바로 평가받기 힘들다”며 “최근 STC 제도를 도입하는 등 남성과 여성의 차이를 인정하는 방향으로 평가방식이 개선되고 있는데 이러한 제도가 보다 확장돼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대 양성평등 구현을 위해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여성 교수의 비율을 정책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2008년 여성연구소가 진행한 조사에 따르면 설문에 응한 여성 교수의 78.7%와 여성 강사의 88.9%가 교수 채용과정에서 보이지 않는 성차별이 존재한다고 답한 바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교수 채용을 의무화하는 등 보다 적극적 제도 마련이 절실한 상황이다. 서울대는 여교수 채용을 20%까지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실질적인 제도가 뒷받침되지 않으면 이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박명진 부총장은 지난달 개최된 총장 기자간담회에서 “자연적 증가로 여교수 채용률 20%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10년이 지나야 한다”며 “정부가 대학의 여성교수 T.O.를 마련한다면 이를 보다 수월하게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임용 문제를 넘어 궁극적으로 대학 내의 양성평등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양성평등 전담기구를 상설화해야한다는 의견도 있다. 실제 영국 옥스퍼드대는 평등과 다양성 기구(Equality and Diversity Unit)라는 성평등 전담 기구를 운영 중이다. 이 기구는 성평등 담당직원을 배치하고 구성원들의 의견을 정기적으로 수렴해 중장기적인 양성평등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이를 통해 옥스퍼드는 아동보육 서비스 전담 부서를 설치하고 학생과 교직원의 자녀 보육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벌이고 있다.
현재 서울대에는 양성평등추진위원회가 있지만 이곳은 여교수 신규 임용과 관련된 사안만을 다루고 있어 양성평등에 관한 종합적인 논의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여교수회는 “양성평등 정책은 전 교직원과 학생의 삶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만큼 총괄적인 기획과 실행을 전담하는 기구의 설립이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며 “그러한 기구를 내실있게 운영하기 위해서는 전담 인력 배치가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현재 본부는 여 교수의 과소 대표성문제와 처우 관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양성평등 업무 전반을 담당하는 기구 설립을 논의 중이다. 박명진 부총장은 “임용문제 이외에도 여러 가지 양성평등 정책을 종합적으로 담당하는 기구 설치를 논의하는 중”이라며 “양성평등 실현은 인사 문제에 국한되는 것이 아닌 만큼 종합적 논의 기구 설립을 통해 성 차별에 의해 발생하는 여러 제반 문제들을 해결하겠다”고 말했다.

성준경 취재부 차장의 다른기사 보기  
ⓒ 대학신문(http://www.snu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