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같은 교육사회학 수업이라도 학기마다 중심 테마가 조금씩 달라진다. 2011년 봄 교육학과 전공 수업에서 초점을 맞추었던 것은 20대 대학생의 현실과 고등교육이었다. 대학이 20대들에게 무엇을 해주나. 대학에서 20대들은 무엇을 경험하는가. 마침, 본부점거가 터져서 이 고민이 더 시의적절하기도 했고. 예비 초등교사인 교대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이번 학기 교육사회학 수업의 테마는 '교사'이다. '교육불가능의 시대'라 일컬어지는 2012년 한국, 교사는 인기 직업 중 하나다. 교사가 되려는 학생들의 수많은 이유와 맥락들, 인생사들과 함께 사회과학적인 상상력과 변화의 희망을 함께 이야기하고 싶다. 그래서 이것저것 읽게 된다. 아래는 그 목록들. 계속 업데이트 될 것임.)

 

 

 

<교원양성, 교직사회화, 교사문화에 관한 문헌들 목록>

 

- 2012년 봄 업데이트

 

 

 

교원양성 과정과 체제

 

박남기(1996), 교대생이 바라본 초등 교원 양성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초등교육연구} 10(1), pp.219~264

 

박남기(1997), {미래 교사의 눈에 비친 초등교원 양성 교육의 현주소}, 서울: 교육과학사

 

서근원(2011), 그들은 왜 서로 다른 교사가 되었을까?: 사회화의 다양성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교육사회학연구} 21(4), pp.89~124

 

이혁규(2012), 교원양성체제는 어떤 교사를 길러내는가?, {오늘의 교육} 6호, pp. 34~48

 

 

 

교직사회화 과정

 

최상근(1993), 한국 초중등 교사의 교직사회화 과정 연구: 국공립학교 남교사를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3(1), pp.57~78

 

D.C. 로티/진동섭 역(1993), 사회화의 한계, {교직사회: 교직과 교사의 삶}, 양서원

 

정용주(2012), 신규 교사는 어떻게 능숙한 경력교사가 되는가?, {오늘의 교육} 6호, pp.10~33

 

 

 

교직, 교사문화

 

R. 드리븐/이인효 외 편역(1991), 교직의 직업적 특성, {교육과 사회}, 교육과학사

 

이인효(1990), 인문계 고등학교 교직문화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류방란(2001), 교사의 권위와 학교교육의 위기, {교육사회학연구}, 11(3)

 

김영천(2005), {별이 빛나는 밤}, 1,2, 문음사

 

 

 

가르치는 일, 교사가 된다는 것

 

사토 마나부(2006), 새로운 페다고지, {가족에서 학교로, 학교에서 마을로}, 또하나의문화, pp.70~84

 

사토 마나부(2006), {수업이 바뀌면 학교가 바뀐다}, 에듀케어

 

김영진(2012), '현실'을 잊은 교육, '현실'과 절연된 학교, {오늘의 교육} 6호, pp.49~68

 

엄기호(2012), 스승이 가능한가?, {오늘의 교육} 6호, pp.69~87

 

윤지형(2012), {나는 왜 교사인가}, 교육공동체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