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제까지 앓다가, 오늘은 아침부터 샤워하고 커피도 한 잔 마시고 쇠고기 넣고 미역국도 끓인다. 베란다 창틀에 핀 채송화 사진도 찍고 써야할 원고의 기초 분석도 시작했다. 실은 오늘도 컨디션이 안좋지만 힘을 내어 회복의 단계로 들어가본다. 회복. 전의 상태로 돌이키거나 되찾는 것. 그렇다면 사실 회복이라는 건 불가능한 것 아닐까. 어떤 경험이 지나간 몸과 마음은 다시 이전 상태로 돌아갈 수 없다. 긍정 부정 여부를 떠나서. 그저 회복되었다고 믿을 뿐 실은 변화를 겪은 나는 그 변화 이전으로 못돌아간다. 그게 무엇이든 되찾을 수도 없다. 내가 겪고 지나온 것들이 나를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 걸까. 지독하게 앓고 난 내 몸은 더이상 이전의 내가 아닐텐데 그럼 난 어디로 어떻게 흘러가고 있는 걸까. 그런데 나는..
드디어.. 나도 확진이 되어 온몸이 흐물흐물 아프다. 아침 먹고 기력이 없어 한숨 잤는데 꿈에 엄마가 나왔다. 정확히는 엄마랑 통화를 했다. 엄마는 경상도 어디쯤 살고 나는 서울 어딘가 사는 듯 했는데 주말에 엄마랑 대전쯤에서 만나자고 했다. 별 재미없이 산다고 귀찮은 일들 밖엔 없다고 말하는 엄마에게 그게 좋은 거라 이야기했다. 큰 걱정없고 아프지 않은 삶. 크게 반갑게는 아니라도 주말 만남을 기대하는 듯 엄마 목소리가 밝아졌다. 거기 까지 말하고는 잠에서 깼다. 일어나서야 엄마는 돌아가셨지, 알아챈다. 눈물이 후두둑, 시간이 지나도 여전히 보고싶은 엄마.
나흘 전부터 아프기 시작한 아이는 금요일 밤 정점을 찍었고 그 후론 점점 나아지고 있다. 그날 밤엔 해열제가 안 들어서 다른 성분의 약을 한 번 더 먹이고 물수건으로 오래오래 몸을 닦아줬다. 열 때문에 온몸이 아프다던 아이는 찬 수건이 몸에 닿으니 편안해했다. 그렇게 여러 번 닦아주고 나니 열이 좀 내려 이내 잠이 들었다. 엄마는 나한테 코로나 옮을 수도 있는데 왜 내 옆에 와서 이렇게 나를 닦아주는 거야? 고열 때문에 눈까지 빨개진 아이가 내게 저렇게 물었을 때 내 대답은 당연했다. 니가 아픈데 엄마가 어떻게 안 보살피겠노. 설령 내가 전염된다고 해도 지금은 아픈 아이가 우선인 것. 그게 내 몸에 밴 엄마 노릇이다. 금토일 사흘동안 아홉 끼니를 해 먹이고 빨래 돌려 널고 베란다 화분 정리와 물청소를 했..
- Total
- Today
- Yesterday
- 교육사회학
- 기억
- 졸업
- 토론토의 겨울
- Toronto
- OISE
- 박완서
- Kensington Market
- 토론토
- 열등감
- 엄마
- 일다
- CWSE
- 인도
- 영어
- 논문
- 켄싱턴 마켓
- 일상
- 인터뷰
- 봄비
- 아침
- 선련사
- 감기
- 여행
- 맥주
- UofT
- 봄
- 가을
- 일기
- 교육대학교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